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 - 16:30
- 토요일 08:30 - 12:30
- 점심시간 없음
일요일/공휴일 : 휴무
일요일/공휴일 : 휴무
061-274-7575
홈으로_ 커뮤니티_ 컬럼
갑작스러운 아랫배 통증, 자궁근종 신호일까?
갑작스러운 아랫배 통증은 단순한 소화불량부터 부인과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자궁근종'도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자궁근종의 특징과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전체 여성의 40~50%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주로 가임기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악성(암)은 아니지만 증상에 따라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생리통 △생리량 증가 △골반통 △아랫배 묵직함과 압박감 △배뇨·배변 불편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의 의심 신호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생리주기와 무관하게 아랫배 통증이 발생하거나, 복부 팽만감과 묵직한 압박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생리 기간이 아님에도 부정출혈이 있거나, 방광과 장기를 압박해 빈뇨·잔뇨감·변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산부인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특히 근종이 괴사·변성되거나 장막하근종의 줄기가 꼬이거나, 근종 내 출혈이 발생할 때는 갑작스럽고 심한 복통이 동반될 수 있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자궁근종 진단 방법은?
자궁근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검사가 활용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질식 초음파 검사입니다. 자궁 내에 근종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근종의 위치와 크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근종이 크거나 개수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복부 초음파나 mri 검사가 보조적으로 시행됩니다. 이 검사는 자궁 전체 구조와 주위 장기와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근종이 자궁 안쪽으로 돌출된 형태일 때는 자궁경 검사가 필요합니다. 자궁강 내부를 직접 들여다볼 수 있어, 특히 점막하근종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자궁근종은 발생 위치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근층내근종은 자궁의 근육층 안에 자리 잡는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가까이에 생기며, 생리 과다출혈이나 난임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장막하근종은 자궁 바깥쪽으로 자라나며, 줄기가 꼬이거나 주변 장기를 압박할 경우 복통과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 꼭 수술이 필요할까?
과거에는 근종이 크거나 개수가 많으면 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궁근종 로봇수술 등 자궁 기능을 보존하는 치료법이 발전하여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근종만을 정밀하게 제거하고 자궁벽을 재건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의 부담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무증상·소형 근종은 3~6개월 간격으로 초음파 추적 관찰을 하며 상태를 확인합니다. 그러나 △근종 크기 증가 △생리통·출혈 악화 △골반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비수술·수술 치료를 포함한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